독립 유공자獨立有功者

      하재화       하봉수      하겸진     하장환     하동로
      하재연       하재익      하승현     하익봉

  1. 하재화河載華 1860년哲宗 11 - 1937년
 자字는 복영復榮 호號는 여인헌與人軒이니 송정松亭 수일受一의 후손이고 함청헌 이태以泰의 손자이며 성운聖運의 아들이요 재곤載崑의 아우이다. 1894년에 생원生員시에 합격하였고 천품이 강직하고 효제충신을 생활의 신조로 삼았으며 부귀 현달顯達을 구하기보다 평생 동안 자기 수양修養을 위한 학문에 정진하였고 향내 유림행사에 솔선하여 예禮와 법도를 전수하였다.
 망국 후 국권회복을 위하여 그는 1919년에 3. 1운동이 일어날 무렵 유림에서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해 작성한 독립청원서에 서명하고 항일운동을 전개하였으니 세칭 파리장서사건巴里長書事件이다. 요지는 한국독립의 정당성과 당위성을 주장하는 것으로 명실상부한 유림의 항일 운동이다. 공公은 1927년 1월 20일 독립운동 단체인 신간회新幹會창립준비 발기인으로 활동을 하였으며 1973년 서울 남산에 건립한 파리장서비巴里長書碑 비문에 공의 이름 이 새겨져 있다.
  2. 하봉수河鳳壽 1867 - 1939 - 양정공 14대손
 공은 장령공 계보季溥의 장자 선무랑 응應의 11대손이며 영상榮尙의 7대손이다. 증조는 덕삼德三이고, 조부는 필흥必興이며, 달규達圭의 독자獨子이다. 공의 자字는 채오采五이고 호는 백촌栢村이며 고종 4년 세거지 옥종면 월횡에서 태어나 성장하였다. 천품이 영오하고 재기才氣가 남보다 뛰어나 유시幼時에 이미 문명을 띄었다. 선공先公의 효행을 어릴 때부터 보고 익혔으므로 부자父子의 효행이 널리 회자膾炙되었고, 장성하여서는 사곡리(싹실)로 이거하여 극재 하헌진, 회봉 하겸진, 관료 하영태, 제남 하경락 등 문중의 준재들과 함께 강우학맥의 종장 면우 곽종석 문하에서 주리主理의 요지를 들었다. 문장이 아름다워 행장과 묘갈명을 많이 찬했으며 평생토록 후생後生을 장진槳進함이 많았으니 문장과 학행으로 향당에서 추중하였다. 1907년 국채보상운동 때「유동사문諭同社文」을 쓰서 전 국민이 합심 단결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자고 권유하였고, 이후 민족의 앞날을 걱정하여 진주와 거창 다전을 왕래하며 면우 선생을 자주 찾아 시국문제를 토론하였다. 면우 선생이 을미사변 후 미국, 영국 등 각국 영사관에 일제의 만행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보낼 때, 그리고 한일합방 당시 황제에게 상소문을 올릴 때 등 스승의 성명서와 상소문 작성에도 일조하였다. 거창을 다녀온 후에는 반드시 지역의 유림에게 면우 선생의 뜻을 전하였으며, 낙수암에서 족당族黨의 여인헌 하재화, 회봉 하겸진 등과 함께 위국충절을 맹세하며 동지동도同志同道를 결의하였고 이후 ‘파리장서운동’ 때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1919년 3‧1운동의 ‘독립선언서’에 서명할 기회를 놓친 영남 유림들은 유림계가 참여하지 못했음을 크게 한탄하다가 유림계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독립항쟁을 주도하고자 했는데 그 대표적인 거사가 ‘파리장서운동’이다. 전국의 유림 대표였던 면우 선생이 거창에서 그의 문인門人들과 협의하여 독립선언서에 유림대표가 빠졌으니 국제 활동의 사명은 유림에서 맡아야 한다고 뜻을 모은 후 전국 유림의 궐기를 주도하고 파리강화회의에 유림 대표를 파견하여 조선의 독립을 국제적으로 요구하고자 한 운동이었다. 우선 면우 선생을 중심으로 한 영남유림은 서명 작업과 활동자금을 준비하였고, 문인 김창숙 등은 전국을 대상으로 거사를 주도하였다. 이때 면우 선생은 “우리의 대의를 펼치는 일을 하니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다” 하였고, 공도 “민족을 위해 다 같이 떨쳐 일어나니 어찌 반갑고 고마운 일이 아니겠습니까” 하였다. 그 해 3월말 심산 김창숙은 전국의 유림대표 137명의 서명을 받아 이루어진 ‘파리장서(독립청원장서)’를 휴대하고 상해로 밀항하여 만국 평화회의에 참석한 김규식에게 우편으로 보냈으나 의도한 대로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이 장서에 진주 지역에서는 공을 포함하여 싹실가家의 회봉 하겸진, 여인헌 하재화, 태계가家의 하용제, 대곡의 이수안 등이 서명하였으며 이 일은 몇 달 뒤 일경日警에 발각되어 서명한 유림 대부분이 체포되어 수개월의 옥고를 치루면서 혹독한 고문을 당하였다. 이때 고문 후유증으로 곽면우 선생과 김복동, 하용제 등은 순국하였는데 이 사건을 ‘제1차 유림단 사건’ 이라고도 한다.
 1973년 서울 남산에 ‘한국 유림 독립운동 파리장서비’를 세워 서명 유림의 휘함諱銜을 새겠고, 정부에서는 1995년 서명한 유림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하였으며, 아울러 2002년 ‘충효실천 운동본부’에서는 공의 항일공적을 후대後代에 전하기 위해 큰 바위를 다듬어 ‘유림대표儒林代表들이 광복光復을 청원請願한 파리장서의거巴里長書義擧에 동참同參한 백촌栢村 하봉수河鳳壽’ 라고 새겨두었다.
. 3. 하겸진河謙鎭 1870년高宗 7 - 1946년
자字는 숙형叔亨이요, 호號는 회봉晦峯이다. 송정松亭 수일受一의 12세손이고 재익載翼의 아들이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鐘錫에게 사사師事하였고 경학을 근본으로 삼고 주자와 퇴계 학문을 복응服膺하였다. 천부적天賻的인 총명을 지니고 학자로서의 긍지와 사명감을 견지하면서 전 정력을 경주하고 심오深奧한 학문탐구 논문 저술 문하생 교육에 전념하였다. 저서著書로는 방대尨大한 주어절요朱語節要 10권을 편찬編纂하였고 다시 주자어류판각朱子語類板刻을 영조營造하여 그 재판을 성취하였으며 퇴도서退陶書를 독파讀破하여 도문작해陶文酌海 6권을 꾀하고 이 양서를 좌우에 비치하여 진리를 심구 하였다.
또한 사학에도 조예造詣가 깊어 명사강목明史綱目 18권을 저작하여 세상에 폈으며 만년에는 동시화東詩話를 엮어 동방시화東方詩話의 대종大宗을 이룩하였고 지대한 노고와 장구長久한 시간을 소진消盡하면서 동방유현東邦儒賢의 학문과 연원淵源을 체계 있게 정리한 동유학안東儒學案을 완성하였다  회봉晦峯은 망국 후  3. 1운동이 일어나던 해 유림儒林측에서 파리강화회의에 참가 열강에 한국 독립을 호소하는 독립청원서에 영남 유림대표의 한사람으로서 서명하고 항일운동에 참가하였다.
세칭 파리장서사건巴里長書事件이다. 파리장서사건 요지는 한국 독립의 정당성과 당위성을 주장하는 것이었다. 이는 명실상부한 유림의 항일운동이다. 파리장서 사건 후 유림들이 군사기지 건설과 군사양성을 위해 국내에서 군사자금을 모을 때 이일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26년 1월 군자금 모금차 중국으로부터 밀입국하여 활동을 벌이던 김창숙 등은 내몽고內蒙古지방의 민간지와 황무지 20만 정보를 매입하여 이상촌理想村을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즉 만주지역의 한인들을 집결시켜 개간사업을 일으키고, 그 수익금으로 무관학교武官學校를 설립하여 군대를 양성하는 둔병식屯兵式 제도를 실시함으로써 10년 동안 실력양성을 통하여 독립을 달성한다는 원대한 포부를 지니고 있었다. 이때 김창숙의 독립운동 활동을 지원하던 중 1927년 2월에 발각되어 일본 경찰에 피체被逮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에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 8월 15일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하였다. 저서로 회봉晦峯문집이 있다
  4. 하장환河章煥 1874년高宗 11 - 1928년
자字는 경연絅然이요 호號는 일암逸庵이니 송강松岡 항恒의 11세손이며 계종啓重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타협하지 않는 곧은 지조와 절개를 지녔고 한학漢學과 유학儒學에 정진하여 지방 유림의 학맥學脈을 이어갔다.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는 정신이 강한 공公은 일제치하日帝治下에서 일본日本에게는 세금을 낼 필요가 없다며 세금을 징수徵收 하러온 일본 관사官司를 엄하게 꾸짖어 돌려보낸 일화逸話로 유명하다.
 1919년 2월 고종 장례식高宗葬禮式 때는 일제日帝가 금禁하는 백립白笠을 쓸 만큼 공은 선비의 절개節槪를 지켰다.  동포同胞에 대한 사랑이 남달라 흉년凶年에는 집안 곳간을 열어 헐벗은 사람들을 구휼救恤하는 인자仁慈함을 보였다. 1919년 3월 1일 일제치하日帝治下에서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발표하였을 때 각계 대표 33인 중에 유림대표가 빠져 있음을 애통해 하며 조국이 어려움에 빠져있는 상황에 학문에만 전념할 수는 없다고 하고 유림들과 향후 활동방향을 논의했다.
 1925년 3월 김창숙金昌淑 손후익孫厚翼 김황金榥 등 유림대표들은 해외에 독립기지로  무관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을 양성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군자금 모금활동을 전개하였다. 공은 자기 재산 대부분을 독립자금으로 내놓았을 뿐 아니라 김창숙 손영우 김화식 등과 함께 1925년 9월 비밀결사조직인 신건동맹단新建同盟團을 결성하여 진주, 함양, 등 서부경남지방 모금을 총괄하였다. 이를 통해 거둔 자금은 무기 구입 등 독립활동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감시가 심해 1926년 3월 독립자금 모금 활동이 왜경에 발각되어 손후익 김황 김화식등과 함께 피검被檢되었는데, 유림 600여명이 체포되었던 이 사건은 일제하의 유림의 대표적인 항일독립운동抗日獨立運動으로 병인 유림단사건丙寅儒林團事件) 또는 제2차 유림단의거第二次儒林團義擧라 한다. 대구 감옥에 구검拘檢 된 후 9개월 동안 미결수로서 옥고와 심한 고문을 받다가 1927년 1월 2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예심종결결정豫審終決決定으로 방면放免된 후 옥고獄苦의 후유증後遺症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이듬해 1928년 1월 3일 세상을 떠나니 향년 53세었다.
 대한민국정부는 공公의 항일 독립운동공훈抗日獨立運動功勳을 인정하여 2002년 8월 15일 제57주년 광복절光復節에 대통령표창大統領表彰을 추서하였다.
공公의 서거逝去 소식을 듣고 옥중에서 보내온 김창숙金昌淑이 통절痛切한 아픔을 표현한 애도哀悼의 시詩가 있다.
영남에 한 사람 선비가 있으니          嶺表有一士
지나치게 결백한 백립 쓴 사람일세.     淸狂白笠客
그에겐 곡식이 백여 종 있었고          有粟百餘鐘
술도 두어 섬 있었지                   有酒數三石
곡식을 나누어 가난한 이 주었고        散粟與貧兒 
술에 취해 달밤에 노래하였다네.        被酒歌月夕 
노래가 끝나면 거듭 크게 울었나니      歌破伋大哭 
이 세상 모두가 더러운 자취뿐이기에    宇宙皆塵跡
 5. 하동로河東老 1876년高宗 13 - 1926년
 1919년 4월 10일경 진주에서 황종화黃種和. 하남식河南植 등 6명의 동지와 함께 「서울을 중심으로 맹렬히 독립운동이 전개되고 있으니 우리도 경남을 중심으로 하는 단체를 만들자」는 데 합의하여 경남단慶南團을 조직하고. 6월 초순부터 9월 중순 사이에 하용제河龍濟 등 여러 명에게 가입을 권유하고 운동자금의 갹출하였다. 또한 6월 하순에 그는 진주시 대곡면의 하종식河宗植 외 8명을 경남단의 임원으로 임명한다는 이강李剛 공公 명의의 임명장을 서울로 올라간 황종화로부터 건네받아 본인들에게 교부하는 역할을 맡았다.
 동년 7월에 그는 진주시 평거동 귀곡리의 정태석鄭泰奭을 방문하여 경남에 상해 임시정부를 위한 조직을 설치할 계획임을 말하고 원조를 요청하였다. 동년 8월 20일경 그는 황종화와 의논하여 상해 임시정부와 연락할 임무를 맡겨 권태용權泰容 외 2명을 상해로 파견하였는데, 권태용은 임시정부의 경상남도 금전수입원金錢收入員으로 임명되어 9월 18일경에 귀환하였다.
그 뒤로도 그는 10월 하순까지 사이에 세 차례 더 정태석을 방문하여 600원의 원조금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하여 이를 수령하려다가 10월 24일 일경에 체포되었다. 그 후 1919년 12월 15일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에서 사기미수 및 협박 미수로 징역 1년 6월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는데, 취조 과정에서 모진 고문과 수형기간 중의 가혹한 체형體刑으로 인하여 출옥 후에도 심신의 고통을 겪다가 5년 뒤에 46세를 일기로 서거하였다.
정부에서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3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6. 하재연河在衍 1866년 高宗 3 - 1940년
 자字는 희구希九이요, 증 공조참의 활活의 12대손이고 석모錫模의 아들이다.
3.1 의거의 함성이 전국 방방곡곡으로 퍼져나가고 있을 때 함양 유지 정순길. 윤보현. 정순귀. 노경석 등 4인은 독립운동을 논의하고 거사하였다. 수천 명 군중이 모여들어, 준비한 태극기를 군중들에게 나누어 주고 대한 독립 만세를 선창했다. 이에 4인이 체포되자 이에 격분한 김한익이 분함에 못 이겨 다시 군중들을 규합하자 3천여 명이 모였다. 김한익이 독립만세를 선창하고 시장을 누비며 시위를 전개하자 군중이 외치는 그 함성은 천지를 진동하였다. 왜병이 군중을 지휘하던 김한익을 검거하자 군중은 노도와 같이 일본헌병 분견소로 몰려갔다. 이때 군중대열에서 뛰쳐나온 하승현河升鉉이 즉각 피검자를 석방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일본헌병  분견소로 돌진하다가 일본군의 총에 맞아 그 자리에서 순절했다.
 이 소식을 듣고 달려온 승현의 아버지 재연在衍은 쓰러져 있는 아들의 모습을 보고 격분하여 동생 재익在翼과 같이 피검된 백성을 석방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일본헌병 분견소를 향해 달려갔다. 이때 일본군은 이들을 향해 총을 난사해 재연在衍과 재익在翼은 총탄을 맞고 쓰러졌다. 아들과 아버지 그리고 숙부가 총을 맞고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는 참상을 본 사람들은 그 누구라도 민족적 의분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총탄을 맞은 재연在衍과 재익在翼 형제는 진주와 대구병원으로 옮겨 다니며 치료를 받았으나 완쾌되지 못하고 평생을 불구의 몸으로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이러한 숭고한 애족애국정신을 찬양하여 2006년 8월 15일 대통령 표창을 추서했다.
  7. 하재익河在翼 1884년 高宗 21 - 1922년
 자字는 성도聖道이니 증 공조참의 활活의 12대손이고 석모錫模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충忠 효孝와 의리義理에 강해 남다른 기질과 천성이 특출하였다.
 나라를 잃게 되자 천지에 가득 찬 분노의 함성이 메아리친 3·1운동은 온 국민이 궐기하여 맨주먹으로 침략자에 항쟁하여 주권을 찾고자 한 거족적인 독립운동이었고, 왜적의 총탄 아래 민족정기를 세계만방에 과시한 민족사의 거보였다. 이 운동이 전국에 파급되어 만세의 함성이 방방곡곡에서 천지를 진동시킬 때, 경남 함양에서도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이 독립운동에 참여한 재익在翼은 3월 28일 함양 독립만세 운동의 선두에 서서 활약하였고, 2차로 4월 2일 함양시장 의거에 군중대열의 앞에 서서 독립만세를 높이 외쳤으며, 일본 헌병 분견대로 달려가 피검된 애국 동지들을 구하려다 총탄을 맞고 순국한 조카 승현升鉉의 모습을 보고 격분하여 형 재연在衍과 같이 일본군 헌병 분견대로 달려가 석방을 외치다가 일본군이 쏜 총탄에 맞아 쓰러져, 수년간 병원생활을 하였으나 완쾌하지 못하고 불구의 몸으로 살다가 향년 38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후, 공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찬양하여 1983년 8월 31일 대통령 표창과 1991년 8월 15일 건국훈장애족장을 추서했다.
 
  8. 하승현河升鉉 1895년 高宗 32 - 1919년
 공公은 증 공조참의 활活의 13대손이고 재연在衍의 아들이다. 1919년 3. 1운동의 여파는 전국 각지로 퍼졌으니, 경남 함양에서도 3월 28일 정순길 등이 만세를 외치다가 일본 헌병대에 구금되었다. 공은 죽음을 맹세하고 4월 2일 장날을 기해서 수천 군중들에게 태극기를 나눠주고 만세를 외쳤다. 일본 기마 헌병이 김한익을 잡아가자, 공은 군중에 앞장서 헌병소로 달려가 구출하려 했다. 일본헌병은 앞서 달려드는 공에게 총을 쏘아 쓰러뜨렸으니 24세의 젊은 나이로 순국하였다.
 7일 후 공의 장례를 함양읍 대덕부락 뒷산에 치렀는데, 인근 고을 사람까지 수천 명이 모였고 길 가던 노파까지도 서로 다투어 상여를 메었으며, 한사람이 돌 하나씩 모아 무덤을 만들고 대한의사 승현의 묘라고 빗돌을 세웠더니, 다음날 왜병이 묘를 파헤치고 빗돌을 부수는 만행을 저질렀다.
 공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찬양하여 1977년 8월 15일에 대통령 표창을 내리고 1991년 8월 15일에 건국훈장 에족장을 추서했다.
 9. 하익봉河益鳳 1926년 - 1945년
진사進士 증憕의 13세손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석인錫仁이고 만택萬澤의 아들이다. 1945년 진주중학교晉州中學校 재학중在學中 학생으로서 일제日帝의 강제노역强制勞役에 징발徵發되어 진해 비행장鎭海 飛行場 건설建設에 노역 중 여러 학생들이 강제노역强制勞役에 항거抗拒하다가 투옥投獄되었는데 공公이 말하기를